출퇴근 기능 설정하기(GPS, WiFi / 근무 유형 설정 등)

________.jpeg

안녕하세요 원티드스페이스입니다🤗

2021년 7월 1일부터 5인 이상 사업장에 주 52시간 준수가 전면 도입됨에 따라, 근태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많이 느끼실 텐데요.

 

원티드스페이스를 활용하면, 더욱 더 편하고 쉽게 근태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원티드스페이스의 다양한 출퇴근 기능과 설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근태 설정하기(클릭)

※ 원티드 스페이스 무료 기업 가입 후 위의 링크를 클릭해 보세요. 해당 기능을 더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근무 유형 설정하기

근태 설정하기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mceclip1.png

 

① 출퇴근 시간 고정 출퇴근제 : 9 to 6처럼, 고정된 시간에 출퇴근하는 기업은 해당 근무 유형을 선택해 주세요.

해당 근무 유형을 선택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정해진 출근시간부터 근무 시작 사용 여부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 해당 기능은 9시 출근 6시 퇴근일 때, 8시 30분에 출근하여 출근하기를 하더라도, 9시부터 근무시간을 카운트하는 기능입니다.

mceclip2.png

② 시차 출퇴근제 : 출근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결정하며, 하루 8시간만 근무하면 되는 기업의 경우 해당 근무 유형을 선택해 주세요.

선택적 근로시간제(1주) : 주 40시간 일한다면 하루에 8시간 고정으로 일할 필요 없이, 1주간 40시간을 일하면 되는 기업의 경우 해당 근무 유형을 선택해 주세요.

선택적 근로시간제(1달) : 주 40시간 일한다면 하루에 8시간 고정으로 일할 필요 없이, 법정근로시간과 소정 근로 시간 중 더 적은 근무시간만 채우면 되는 근무제일 경우 선택해주세요.

법정근로시간과 소정근로시간의 차이?

 

 

2. 근무일과 근무 시간 지정하기

선택적 근로시간제를 사용하더라도, 주 40시간의 소정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잡기 위해서는 근무 시간을 하루 9시간(휴게 시간 1시간 포함)으로 설정해주세요.

mceclip4.png

 

 

 

 

3. 점심시간/저녁시간 등 제외 시간 설정하기

mceclip5.png

 

4시간 근무 시 30분의 휴게 시간은 자동으로 데이터에 들어갑니다. 다만, 특정 시간을 점심시간으로 지정해서 사용하고 싶으시면. 해당 기능을 켜서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저녁시간을 제외 시간으로 사용하는 야근이 잦은 기업의 경우 특정 시간을 저녁 식사 시간으로 지정하시고 그 시간에 저녁을 먹고 일하도록 안내를 먼저 해주신 후에, 해당 시간을 제외 시간에 포함하는 기능을 켜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설정할 경우 해당 시간은 근무시간으로 계산되지 않습니다.

TIP! 저녁시간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구성원이 앱에서 자리비움 기능을 통해 저녁식사를 하고 업무에 복귀할 때, 다시 업무 시작을 눌러주셔도 됩니다.

mceclip7.png

 

 

 

4. 요일별 근무시간, 점심시간, 저녁 시간 설정

요일별로 근무시간이 상이할 경우 해당 기능을 활용해 근무 시간을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mceclip8.png

 

 

 

5. 출퇴근 가능 시간 설정

출퇴근 가능 시간을 설정해서 해당 시간 내에는 출근을 꼭 하고 퇴근을 하도록 하고 싶으시면 해당 기능을 켜주시면 됩니다.

mceclip9.png

TIP! 코어타임을 운영하는 기업의 경우에도, 위와 같이 설정을 하시게 되면, 9시 ~ 11시 사이에 출근을 해야하고 17시부터 퇴근이 가능하니, 11시 부터 17시까지는 코어 타임 운영이 가능하게 됩니다.​

 

 

 

6. 출퇴근 버튼명 변경하기

mceclip10.png

재택근무 활성화로 인해, 사무실 출근보다는 재택근무가 많은 기업의 경우에 아래와 같이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 업무 시작, 업무 종료 워딩의 경우 원하는 대로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출근하기 → 업무 시작
퇴근하기 → 업무 종료

 

 

 

7. 심야 퇴근 시간

mceclip11.png

퇴근을 하지 않은 구성원이 퇴근 버튼을 누를 수 있는 마지막 시간이며, 해당 시간이 지나게 되면, 출퇴근이 기록되지 않습니다.

예시) 2022년 2월 23일 9시 출근할 경우 퇴근을 누를 수 있는 시간의 경우 24일 오전 5시 59분까지입니다.

 

 

8. 소정 근로 시간

mceclip12.png

소정근로시간이란?

사용자와 근로자가 법정 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합의’한 근로시간을 의미합니다.

 

 법으로 규정된 1주 소정근로시간은 40시간입니다. 구성원과 회사가 합의한 소정 시간이 다르다면 변경해주세요.

 

 

 

9. 근무 스케줄

각 직원별로 다른 근무 시간을 설정해야 한다면, 위 기능을 켜 주시고, 직원 개인에게 각자의 스케줄 입력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mceclip13.png

 

 

 

 

10. 월별 업무 마감

월별 업무 마감 기능이 필요하다면 이 옵션을 사용해 주세요.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구성원이 스스로 월별 업무 시간을 마감할 수 있고, 마감하게 되면 수정이 불가합니다. 다만, 이 기능을 켜더라도 관리자는 변경할 수 있습니다.

mceclip14.png

 

 

 

11. 출퇴근 위치정보 수집

출퇴근 시 위치 정보 수집이 필요하다면 해당 기능을 켜고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mceclip15.png

GPS/Wi Fi 정보를 포함하여 출퇴근 기록을 다운로드하려면 이 옵션을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다만, GPS/Wi Fi 기반 출퇴근을 사용하면, 이 옵션과 상관없이 자동으로 위치 정보를 수집합니다.

* 위치 정보 수집의 경우 구성원이 가입할 때 별도로 동의를 받고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12. 출근 알림 시간 설정

mceclip16.png

처음 원티드스페이스를 도입할 경우, 구성원이 출근을 했지만 출근하기 버튼을 누르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기본으로 설정한 근무 시간을 기준으로 출근 시간 N 분 전(시간은 별도 지정 가능) 알림을 보낼 수 있으며, 총 2회까지만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퇴근 알림의 경우 출근 시간 기준 9시간 후에 자동으로 알림이 갑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이미 출근한 직원에게는 알림이 가지 않습니다.

선택적 근로시간제 사용으로 구성원이 스스로 자유롭게 출퇴근 시간을 정해서 하고 있다면 구성원이 입력한 출근 시간 N 분 전에 알림이 갑니다.

 

 

 

13. 결재라인 설정하기(클릭)

모든 근무 유형을 설정 완료했으나, 출근 버튼을 늦게 눌러 출근 시간을 변경하거나, 과거의 기록을 출퇴근 시간을 수정하려고 할 때, 결재라인을 지정해두면, 해당 결재 라인에 있는 구성원에게 승인을 받고 데이터가 수정됩니다.

위 링크로 접속하신 후에 아래 이미지처럼 결재라인을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mceclip17.png

 

 

 

14. GPS/Wi Fi 기반 출퇴근(클릭) 설정하기

mceclip18.png

위 링크로 접속하신 후에 GPS/Wi Fi 기반 출퇴근 사용 여부를 체크해 주세요.

이때, GPS 위치 기반과 Wi Fi 기반 기능을 모두 켜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GPS가 약한 지역의 경우 사무실에 출근했음에도, GPS 오류가 날 경우가 있어 회사 내 Wi Fi에 접속할 시에 출근과 퇴근이 가능하도록 둘 다 켜두시면 됩니다. 다만, 위 조건은 둘 다 충족되어야 출퇴근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GPS or Wi Fi 둘 중에 하나라도 지정에 놓은 조건에 맞으면 출퇴근이 가능합니다.

 

▶ 지점 만들기 → 지점명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주세요.

mceclip19.png

 

[GPS] 허용 지역 추가를 누르신 후에 아래 이미지처럼 위치명, 주소, 허용 범위를 입력해 주세요.

mceclip20.png
 

*허용 범위의 경우 GPS 신호가 약한 지역이나 모바일 기기 성능에 따라 오차가 있으니 150~300 사이로 설정해 주세요.

 

▶ Wi Fi의 경우 현재 사용하고 있는 PC의 와이파이 정보를 그대로 불러와서 기록됩니다.

mceclip21.png
 
*1개 지점에 여러개의 GPS 허용 지역이나 WiFi 주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15. 지점별 출퇴근 인원 변경하기(클릭)

위 링크로 접속한 후에 지점별로 출퇴근 가능한 부서를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mceclip22.png

 

 

 

16. 월별 근무 스케줄 입력하기(클릭)

관리자가 개별 구성원의 1개월 내의 근무 스케줄을 지정하고 싶다면 위 링크로 접속하신 후에, 근무 스케줄 추가/변경 삭제를 눌러주세요.

mceclip23.png

 

▶ 아래 이미지처럼 공통으로 사용하는 스케줄을 입력해 주세요.

* 아래와 같이 스케줄 이름을 써주시고 스케줄 코드명은 스케줄 이름을 2글자로 줄여서 입력해 주셔야 합니다.

 

mceclip24.png

▶ 설정하신 스케줄을 임직원별로 설정하려면, 아래와 같이 근무 스케줄을 변경하고 해당 임직원 일정에서 드래그해 주시면 됩니다.

한 달의 모든 일정을 다 스케줄을 짜주시고 오른쪽 상단에 [저장하기]를 눌러주세요.

 

mceclip25.png

사용 여부가 O가 되어있는지 확인해주세요.

mceclip26.png

많은 구성원의 근무스케줄 설정이 필요할 경우 오른쪽 상단 [...]을 누르고 [엑셀 업로드]를 누른 후, 포맷을 다운받아 설정하실 수도 있습니다.

 

 

 

FAQ

Q. 구성원 별로 다른 근무 유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럴 때는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A.근무 유형 설정(클릭)

위 링크로 들어가셔서 다르게 설정해야 할 구성원을 클릭 후 별도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근무 유형 설정에 있는 설정이 최종적으로 구성원에게 적용되는 근무 형태이니 이 점 참고하셔서 설정해 주세요. 마찬가지로 프리랜서, 단기 계약직 고용 시 해당 구성원만 근무 유형을 다르게 설정하실 때도 위 링크에서 해당 구성원만 클릭해서 근무 유형을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Q. 기본적으로 자율적으로 출근하고 퇴근할 수 있으나, 코어타임(오전 11시 ~ 4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A.근무 유형 설정(클릭)

위 링크로 들어가셔서 모든 구성원을 클릭하시고 아래 이미지처럼 출퇴근 가능 시간 설정 사용 여부를 체크하신 후에 출근 가능 시간과 퇴근 가능 시간을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질문 주신 것처럼, 코어타임이 11시부터 16시이므로, 출근 가능 시간은 11시까지, 퇴근 가능 시간은 16시부터 시작으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모든 HR 데이터를 쉽고 편하게!

원티드스페이스를 지금 만나세요!

또 다른 질문이 있으십니까?   챗봇 문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