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근로시간과 소정근로시간의 차이 | 선택적근로시간제(1달)일 경우, 이번 달 필수 근무시간은 어떻게 될까?

안녕하세요 원티드스페이스입니다😀

법정근로시간과 소정근로 시간의 차이 알고있나요?

이번 글에서는 이 2가지의 차이를 알아보고 원티드스페이스에서는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1. 법정근로시간, 소정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은 말 그대로 법에서 정한 최대 가능 근로시간을 말합니다.

일반 성인근로자 기준 1일 8시간 1주 40시간이 법정 근로시간입니다.(공휴일과 무관)

소정근로시간은 법정근로시간 한도 내에서 당사자간 근로하기로 정한 시간을 말합니다.

소정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이 될 수도 있고, 그보다 더 적을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소정근로시간이 법정시간을 초과할 수는 없습니다. 초과한다면 소정근로가 아닌 ‘연장, 휴일근로 등’이 됩니다.

 

2. 선택적 근로시간제(1달) 하에서의 법정근로시간, 소정근로시간

 

매월 일수가 다르기 때문에, 법정근로시간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40 × 해당 월의 일수 ÷ 7

2022년을 기준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준 연도와 월

계산식

법정 근로 시간

(단위 : 시간)

2022년 1월

40*31/7

177.1428571

2022년 2월

40*28/7

160

2022년 3월

40*31/7

177.1428571

2022년 4월

40*30/7

171.4285714

2022년 5월

40*31/7

177.1428571

2022년 6월

40*30/7

171.4285714

2022년 7월

40*31/7

177.1428571

2022년 8월

40*31/7

177.1428571

2022년 9월

40*30/7

171.4285714

2022년 10월

40*31/7

177.1428571

2022년 11월

40*30/7

171.4285714

2022년 12월

40*31/7

177.1428571

소정근로시간은 회사마다, 또 근로자마다 다를 수 있어서 시간이나 계산식을 특정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제일 많이 채택하는 소정근로시간해당 월의 영업일수x8시간으로 합니다.

영업일수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당 월에 공휴일이 있다면 해당 근무 시간은 소정 근로시간에 빠지게 됩니다.

 

3. 2022년 9월과 11월 비교해서 확인하기

2022년 9월의 법정 근로 시간은 위의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171.4285714시간(171시간 25분)입니다.

mceclip0.png

다만, 위 달력에서 보시는 것처럼, 9월의 경우추석 연휴 2일이 있음으로 영업일수는 20일로 소정 근로시간의 경우 160시간이 됩니다.

이때 당사자간 약정한 160시간만 근무하는 것으로 진행하면 됩니다.

  • [참고]9월의 법정근로시간이 171시간이므로 해당자가 11시간을 초과근무하더라도 법적으로는 50%를 가산해서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법적 용어로는‘법내 연장근로’라 합니다.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만 50%를 가산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더 쉬울 것 같습니다. (해당 내용은 회사가 구성원과 계약한 형태에 따라 다르니, 주의해주세요.)

반대의 경우도 살펴보겠습니다.

2022년 11월의 법정 근로 시간은 위의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171.4285714시간(171시간 25분)입니다.

mceclip1.png

다만, 위에서 보시는 것처럼 11월의 경우 공휴일이 없기 때문에 소정근로시간의 경우영업일(22일) × 8시간을 할 경우176시간의 근무를 해야합니다. 1번에서 말씀드렸듯이, 소정근로시간은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할 수 없음으로, 11월의 경우에는 171.4285714시간(171시간 25분)이 필수 근무 시간이 됩니다.

4. 원티드스페이스 앱에서 적용

mceclip2.png

 

위 1~3번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필수 근무 시간이 자동 적용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정말 편리하죠?😉

 

모든 HR 데이터를 쉽고 편하게!

원티드스페이스를 지금 만나세요!

 

또 다른 질문이 있으십니까?   챗봇 문의하기 >